카테고리 없음

gameCIH 게임치 이제 슬슬 걸립니다

라면군 2011. 5. 28. 14:13
   

어플내 불법적인 데이터 Cheating행위 근절에 따른 업무 협조 요청

안녕하세요, T store developer Center입니다.

최근 타 어플리케이션 마켓을 통해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을 Cheating하게 해주는
어플(gameCIH 등)들이 유통됨으로써,T store개발자 여러분의 피해가 예상됩니다.

(◈ Cheating이란? 상품을 통해 구매할 수 있는 아이템, 능력치 혹은 포인트를 합법적인 방법이 아닌
불법적인 행위를 통해 임의적으로 수치를 입력하여 충전/구매하는 행위
)

언제나 저희 T store는 판매회원님들께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음에도
해당 어플이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개발자 여러분과 함께 협력하여 위와 같은 어플리케이션내
데이터 조작에 따른 부적절한 행위(Cheating 행위)를 근절하오자 하오니

판매 회원님들께서 상품 개발시 아이템 혹은 포인트 적용 방식에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소스 변환 처리 방식을 이용하시어 위와 같은 피해에 노출되지 않도록
개발자 여러분들의 신속한 협조 부탁 드립니다.
(ex : 데이터 파일 내 저장된 포인트 및 능력치를 integer가 아닌 Hexadecimal, hash등으로 변환/복구하는 방식 등)

또한, 해당 cheating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 경우에는 (xxxxxxxx@xxxxxxx.com)
Email 회신을 통해 피해 내역, 가해자 인식 방법 등을 안내해 주시면
판매회원님과 긴밀하게 협조하여 빠르게 조치가 가능하도록
T store가 함께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티스토어 공식 입장입니다. http://dev.tstore.co.kr/devpoc/notice/viewNotice.omp?sub.noticeId=4393

님들도 설마 에스케이가 호구도 아니고. 대기업인데 자기 이익 갉아먹는 저런 프로그램을 그냥 두고 볼꺼라고 생각하지는 않으셨겠죠.

내 개인적으로도 난이도 일부러 어렵게 한다던가 해서 핸드폰 게임 2차 결제를 유도하는 게임들을 아주 싫어하지만-- 뭐 어찌 되었든 게임 유저가 현금 결제함으로서 결제 중개 수수료를 sk통신망쪽에서 받을텐데(제 개인적인 추측입니다) 과연 냅두리라고 생각하셨습니까?

또 3G 무제한 등으로 통신비 제약이 많이 풀어져서. 핸드폰게임 쪽에서도 네트워크를 활용해 단순한 랭킹 등록만이 아닌. 게임 내에 적용하는 그런 게임이 많이지는 것 만큼 자기들 시장을 흐리는 저런 프로그램을 그냥 두고 보지는 않을것이란 말이죠.

그리고 공정성 쪽에서도 문제가 되는게  어떤 사람은 게임 내에 2만원짜리 아이템 패키지를 사서 게임을 했는데(제가 해본 게임 중에서 어떤건 핸드폰게임 아이템 패키지가 2만원이더라더군요--; 게임값 4000인데..)
나중에 그 사람이 게임을 다 즐기고 난 후에 인터넷에서 봐보니 "아 그거? 나 그거 뚫어서 공짜로 캐쉬템 다 써봤는데 그 제일 비싼 2만원짜리가 좋긴 좋더라" 라는 글을 보면 대체 그 사람이 무슨 생각을 할까 라는 점입니다. 과연 '아, 매우 짜증나지만 우리나라 핸드폰 게임업계를 위해 다음 게임에서도 내 구매력이 되는 한 아이템을 사야겠어' 라고 할까요? 아님 '아 씨발, 뭐 저딴게 다 있어-- 나도 뚫는다 ㅅㅂ' 라고 할까요?

애초에 이 논란이 생긴 이유가 핸드폰 게임업자가 게임에 2차 구매인 유료서비스를 슬슬 넣기 시작하더니. 나중엔 대놓고 게임값의 배가 넘는 아이템값을 매기기 시작한것에서 시작합니다. 처음엔 약간의 어드밴티지를 주는 차원에서 캐쉬템을 넣는데, 나중에 가서는 일부 돈은 문제가 아닌 고객층에서 게임값의 몇배가 넘는 돈을 펑펑 쓰기 시작하니깐 베이스 게임 값을 올리는것보다는 아이템에서 수익을 뽑는게 더 이익이라는걸 알게 된게죠.

게임값을 올려서 구매층을 줄이는 것보다는. 그건 그대로 두면서 게임 내 아이템 값을 올리는게 더 이익이라는걸 집은겁니다.

그러면서 핸드폰 게임은. 그냥 게임에서 반 온라인 게임으로 변해갑니다.

만약 이런 캐쉬템이 없으면 게임치가 있던 말던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게임사는 돈을 받고 게임 패키지를 줬으니 그 안에서 유저가 자기의 재미를 어떻게 찾던 그건 유저의 문제라는것이죠.(랭킹만 제한하면 그 외에는 멋대로 해도 아무런 상관이 없다.)

그러나 이렇게 2차구매라는 특징이 생긴 이후로부터는 뭐-- 공정함에 문제가 나왔다는거죠

말이 너무 길어진거 같은데 그냥 간단하게 말하자면.

돈을 주고 CD게임을 산 사람은 그 게임을 인스톨해. 그걸 크랙하던 부셔먹던 찌져먹던 그건 그때부터는 게임을 산 당사자의 문제지만

게임의 '룰'을 정하고 모두가 거기에 따라야 하는 온라인게임은. 한 사람이 그 룰을 찌져먹으면. 그 한 사람의 재미는 확실하게 보장될지 모르지만. 나머지 다수의 재미가 한순간에 사라져 버린다 이 말입니다.
아주 간단하게 FPS를 예로 들면. 게임 내 시스템이 아닌 외의 요소. 즉 크래킹으로 자기의 능력치를 올렸다고 할때. 둘이 같은 상황이라면 5:5로 둘이 동일하게 같은 재미를 느껴야 하는데. 2:8로 한쪽이 3의 재미를 더 가진다고 하면 2 쪽은 뭐가 되느냐 하는 말이죠


아아 -- 말이 너무 딴데로 샌거 같군요.

어쨌든 T스토어 차제가 Sk것인 것만큼 Sk의 입장이라고 봐도 무방할것 같습니다.

지금 앱의 모든 구매내역은 다 수집되고 있는건 아시겠죠?
앱을 한번이라도 깔고 지운사람은 덧글등록이 되지만. 아예 안깐사람은 덧글과 평점을 못매긴다는것

두번째 판별은 루팅을 했느냐 안했느냐고(안하면 아예 프로그램이 작동 안한다고 알고있습니다.)

sk의 최대의 관점은 게임치 사용목적외에 루팅을 한 사람 중에서. 게임치를 실제로 사용을 안하고 흥미로 받았다고 바로 지운 사람을 가려내는게 되겠네요.

하하. 요즘 게임들은 전에 한번 불법복제 사건 이후로 구매후 반드시 서버에서 인증코드를 얻어야 실행되는데 제작사의 최강의 수로 크랙한 게임 유저 정보를 게임사에서 수집하고 있다가 새로 나온 게임 인증을 거부하게 되는 일이 생길지도 모르겠네요 


p.s. 더 웃긴점은 게임치 자체도 게임을 받고 나서 그 안의 수익성 광고를 봐야 기능이 실행되는 2차 수익유도 형태의 프로그램이라는것

p.s.2 T스토어 공지사항 복사가 저작권 문제가 된다면. 연락을 주시면 바로 지우겠습니다.